문재인 대통령은 22일 “정부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지만 헌법이 대통령에게 부여한 국가원수이자 행정수반, 군통수권자로서의 책무를 다하는 것을 마지막 사명으로 여기겠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“국정에는 작은 공백도 있을 수 없다. 특히 국가안보와 국민경제, 국민 안전은 한순간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”며 이같이 말했다. <br /> <br /> “군통수권자의 책무를 다하겠다”는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자신의 임기 50여일 동안엔 청와대 이전을 위한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의 연쇄 이전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직접 천명한 말로 해석된다. <br /> <br /> 청와대는 전날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 확대관계장관회의에서 윤석열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때까지 청와대를 용산 국방부로 이전하려는 계획과 관련해 “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런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의 이전이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”며 사실상의 반대 입장을 냈다. <br /> <br />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선 ‘용산 이전’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. 대신 ‘작은 공백’, ‘한순간의 빈틈’, ‘조그마한 불안 요인’ 등 청와대 이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보공백을 연상시키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했다. 그러면서 “정부 교체기에 더욱 경계심을 갖고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매진해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문 대통령의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57286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