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발사로 '레드라인'을 넘으면서 이에 맞선 국제사회의 공조도 강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북한에 우호적인 중국과 러시아 북핵 대표가 회동하고 이번 발사에 우려를 표명했는데,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국제사회 움직임부터 자세히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주요 7개국, G7 외무장관들이 북한의 ICBM 시험 발사를 강력하게 규탄하는, 단합된 입장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G7 외무장관들은 성명에서 "북한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유예를 스스로 위반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올 들어 12차례 이어진 미사일 발사는 노골적인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G7은 "이런 무모한 행동은 지역 내와 국제적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고, 국제 민간항공과 해상운항에도 위험으로 작용하는 만큼, 유엔 안보리의 추가 조치를 포함한 공동대응이 필요하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"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하고, 미국과 한국, 일본의 거듭된 대화 제의에 응할 것"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독일 외교부에 따르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른 추가 대응을 고려해 G7, EU 차원에서 긴밀한 접촉이 이뤄지고 있는데, 자체적인 제재 강화 움직임이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의 몇 안 되는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의 행보도 관심인데, 양측 북핵 대표가 이번 미사일 발사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러시아와 중국은 이번 ICBM 발사 이후 상황을 주시하겠다는 정도의 입장을 표명하고 자세한 판단은 유보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러시아 외무부는 현지 시간 25일 모스크바에서 양국 한반도 담당 고위인사들이 회동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무차관과 류샤오밍 중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북한의 ICBM 발사를 포함한 한반도 정세를 전반적으로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외무부는 "최근 사태 전개에 대한 우려 표명이 있었다"고 소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"안보 분야에 관한 역내 모든 국가의 정당하고 적법한 우려를 고려해, 동북아 지역 문제들의 외교적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모든 관련국의 노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강조됐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안보 분야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긴밀한 조율을 계속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32610115906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