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오미크론 대유행 정점 찍고 완만한 감소세 판단 <br />스텔스 오미크론 여파…독일 환자 급증·프랑스 등 반등 <br />정부, 내일 코로나19 향후 유행 예측치 발표 <br />코로나19 사망자 282명…위중증 환자 1,216명 ’역대 2번째’<br /><br /> <br />코로나19 신규 환자는 나흘째 30만 명대를 유지하면서 정부는 유행이 정점을 지나 완만한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내에서도 스텔스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내일(28일) 코로나19 유행 전망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신규 환자는 30만 명대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나흘 연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만 6천여 명이, 2주 전보다는 3만 명 넘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정점을 찍고 완만한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경우 / 서울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: 30~40만 명씩 매일 감염되기 때문에 그런 감염을 통해서 자연면역 획득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감염 전파 속도가 조금 줄어드는 양상으로…] <br /> <br />문제는 최근 확산하는 스텔스 오미크론 'BA.2'입니다. <br /> <br />중증도나 입원율은 기존의 오미크론과 비슷하지만, 전파력이 30% 정도 더 높아 위협적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점유율이 40%를 넘은 데 이어 우세종화를 앞두고 있어, 정점이 길어질 수 있단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적으론 이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인해 독일의 환자가 급증했고, 정점을 지난 프랑스와 이스라엘이 내림세에서 반등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내일 스텔스 오미크론의 확산세를 포함한 향후 유행 예측치를 발표합니다. <br /> <br /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 : 전파를 시키는 세대기가 0.5일 정도로 더 짧기 때문에 좀 더 빠른 전파에 대한 위험이 있는 상황이어서 규모나 정점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주말에도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는 3백 명 가깝게 발생했고, 위중증 환자도 천2백 명을 넘겨 역대 2번째로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위중증 환자가 늘면서 전국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67.8%까지 올라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현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신현준 (shinhj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2722143743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