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블랙리스트' 당사자 각양각색...직권남용 여부가 핵심 / YTN

2022-03-31 34 Dailymotion

지난 2019년 이른바 '블랙리스트' 의혹이 제기됐던 건 환경부나 산업부뿐만 아니라 교육부와 과학기술통신부, 국무총리실 등 다양했는데요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이 접촉한 당시 산하기관장 가운데 여러 명이 사퇴 압박을 받았다고 털어놨고, 일부는 자진해서 물러났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실제로 사퇴를 압박해 직권남용 혐의가 입증되는지가 수사의 관건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준엽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동부지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산업부 말고도 다양한 기관에서 사퇴종용이 이뤄졌다는 진술이 나왔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 2019년 자유한국당이 환경부와 산업부뿐만 아니라 교육부와 통일부, 과기부, 국무총리실에 대해 같은 의혹을 제기했는데요. <br /> <br />모두 서울동부지검에서 수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취재진은 당시 정권을 마치고 임기를 못 마치고 떠난 산하기관장들과 접촉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교육부와 과기부 각각 복수 기관장들에게서 사퇴를 종용받았다는 진술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과기부 산하기관장 1명은 당시 사퇴 요구에 순응하지 않으니 판공비 등에 대한 고강도 감사가 시작됐다고 말했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미투 바람이 불 때여서 사퇴 명분이 없으면 않으면 미투로 사임한 것처럼 비칠 수 있다고 우려를 전달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상위기관의 관계자가 찾아와 사퇴를 이야기했다는 게 압박을 받았다는 기관장들의 공통된 이야기입니다. <br /> <br />YTN과의 통화에서 한 교육부 산하기관장 A 씨는 지난 2017년 7월 교육부 담당 국장이 찾아와 사퇴를 요구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국장이 한 차례 더 찾아와 직접 "사표를 가져가겠다"고 재촉하기도 했다는 게 A 씨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A 씨는 임기를 1년 남겨두고 '일신상의 이유'라는 명목으로 사퇴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다른 교육부 산하기관장은 정권이 바뀌고 본인이 자진해서 사퇴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검찰 수사는 향방이 어떻게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 검찰 수사의 핵심은 직권남용이 이뤄졌는지, 그러니까 기관장들에게 직접적인 사퇴 압박이 있는 지인데요. <br /> <br />다수 기관장이 직접 종용 요구를 받았다고 진술한 만큼 그런 일이 실제 있었는지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또 검찰은 대법원 유죄 판결이 난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처럼 사퇴종용 뒤에 취임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준엽 (leej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3113540374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