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념일 맞아 행불인 표석 찾는 유족 발길 이어져 <br />실종 아버지 시신 찾는 일도 쉽지 않아 <br />재심으로 무죄 선고받은 희생자 유족도 추모<br /><br /> <br />오늘(3일)은 제74주년 제주 4·3 희생자 추념일입니다. <br /> <br />4·3 평화공원에는 생존 피해자 일부와 유족들의 참배와 애도의 발걸음이 종일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고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70여 년이란 세월이 지났어도 4·3 당시 아픔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4천 명가량 되는 행방불명인 표석에는 이른 아침부터 실종된 아버지와 어머니, 형제 등을 보러 온 유가족 발길이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4·3 당시 2살이었던 딸은 어느새 몸이 아픈 노인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어릴 적 실종된 아버지가 무척 보고 싶은데 꿈에서도 보지 못한 섭섭함을 털어 놉니다. <br /> <br />[한춘보 / 제주 4·3 희생자 유가족 : 보고 싶으면 어떡할 거예요, 보고 싶어도 꿈에도 한 번 나타나지 않는데요.] <br /> <br />여든이 된 딸은 아버지 이름 석 자가 적힌 표석 앞에 서자 그리움에 참아왔던 눈물이 왈칵 쏟아집니다. <br /> <br />아버지 시신이라도 찾아보려고 노력했는데도 찾을 수 없는 상황이 속상하기만 합니다. <br /> <br />[고광자 / 제주 4·3 희생자 유족 : (아버지) 시신이 없잖아요. 어디에 있는지 알 수가 없는 거예요. DNA 검사해서 부모님 시신을 찾으려고 했지만 찾을 수가 없는 거예요.] <br /> <br />강철훈 씨는 어머니가 최근 첫 직권재심을 거쳐 무죄 선고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"이제는 가슴에 응어리를 내려놓고 편안한 마음으로 영면하시기 바랍니다." <br /> <br />아들 강 씨도 4·3을 대놓고 말하기가 쉽지 않은 시절 무덤 하나 만들어 드리지 못했던 미안함을 이번 재심으로 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[강철훈 / 4·3 희생자 유가족 : 직권재심 청구해서 첫 번째로 무죄 사면을 받고 그 감격은 말로 표현하지 못하죠.] <br /> <br />올해는 4·3 특별법 개정에 따라 직권재심으로 첫 무죄 선고가 나오고 희생자와 유족에게 배상이 시작되는 첫해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의 유해 발굴과 완전한 4·3 해결을 위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고재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고재형 (jhko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40318530668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