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미국 핵무기 공유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혀 논란을 불러일으킨 아베 전 총리가 연일 발언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사일 발사 등 적의 공격 조짐이 있으면 해당 기지뿐 아니라 상대의 중심부까지 선제공격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. <br /> <br />도쿄에서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헌법 개정을 하루 빨리 실현하자며 열린 강연에 아베 전 총리가 연사로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를 언급하면서 독자적 공격 능력의 필요성과 함께 방위비를 현재의 2배 수준으로 대폭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아베 신조 / 전 일본 총리 : 이렇게 군사적 균형이 크게 무너질 경우 이런 충돌이 일어나기 쉬워집니다.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군사력은 전혀 다릅니다.]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중국과 북한을 염두에 두고 상대의 공격 조짐이 있을 때 해당 기지를 선제공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검토 중입니다. <br /> <br />올 연말 3대 전략 문서 개정에 이른바 '적 기지 공격 능력' 보유를 담을지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아베 씨는 한 걸음 더 나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[아베 신조 / 전 일본 총리 : 저는 (적 기지 공격 능력을) 그동안 '타격력'이라고 말해 왔습니다만 이걸 '기지'에 한정할 필요는 없습니다. 상대의 '중심부'를 공격하는 것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선제공격 능력을 갖는 것은 당연하고 공격 범위도 확대해야 한다며 정부에 한층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뿐 아니라 자위대 명기를 위한 헌법 개정을 "정치가로서의 책임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아베 씨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미국 핵무기를 일본이 공유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핵무기를 만들지도 보유하지도 들여오지도 않는다는 이른바 '비핵 3원칙'을 뒤흔드는 발언으로 파장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[기시다 후미오 / 일본 총리 : 자국 방위를 위해 미국의 핵 억지력을 공유하는 것을 상정하는 것이라면 '비핵 3원칙'을 견지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인정할 수 없는 일입니다.]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가 좀처럼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최근 여론조사에서 60%를 넘는 일본 국민이 방위력 강화에 찬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베로 대변되는 일본 내 우익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'방어'에서 '공격'으로 일본 방위 정책의 대전환이 이뤄질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40501354547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