긴축·고물가에 치솟는 국채금리…이자 부담 '눈덩이'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주 국채 금리 폭등 소식 전해드렸는데요.<br /><br />고물가에 국내외 긴축 시계가 앞당겨지면서 국채 금리가 계속 치솟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채 금리가 이렇게 뛰면 대출 금리도 직간접 영향을 받아 더 오를 수밖에 없는데요.<br /><br />대출 쓴 사람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년물 국채 금리가 약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4거래일 내리 연고점을 경신하며 연 3%에 다가선 겁니다.<br /><br />국채 금리는 장단기를 가리지 않고 일제히 치솟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0년물 국채 금리는 사흘 연속 연고점을 경신했는데, 3년물 국채 금리가 더 가파르게 오른 탓에 두 종목간 금리차가 2년 반 만에 최소치였습니다.<br /><br />거침없는 금리 상승세에 한국은행이 국채 2조 원을 사들이며 긴급 진화에 나섰는데도 금리가 요동친 건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책 금리 대폭 인상 전망 탓이 컸습니다.<br /><br />미 연준이 정책금리를 한 번에 0.5%포인트 올릴 가능성이 제기되며 미국 국채 금리를 밀어올렸고, 우리 국채 금리도 함께 오른 겁니다.<br /><br />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년 3개월 만에 4%를 넘으면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커진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.<br /><br />나라 안팎을 가리지 않고 채권 금리가 뛰면서 대출 금리엔 비상등이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6%를 넘는 등 대출 금리는 이미 많이 오른 상황이지만, 앞으로도 상당폭 상승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인상하는 속도에 시장이 기대하는 기대치가 반영이 되기 때문에 대출 금리 같은 시장금리도 같이 빠르게 올라가지 않을까…"<br /><br />경제 성장 둔화를 고려해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면 대출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오르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지만, 고공행진하는 물가를 고려하면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국채금리 #금리인상 #금리발작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