성평등 인식 개선…워킹맘 "가사·돌봄 부담 여전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가족의 생계는 남성이 책임진다', '여성이 돌봄의 주체다'와 같은 성역할 고정 관념이 지난 5년 간 우리 사회에서 많이 옅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실제 생활 속에서는 여전히 여성들의 가사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5년간 우리나라 국민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과거에 비해 많이 변했습니다.<br /><br />여성가족부가 실시한 양성평등실태조사에 따르면 '직장생활을 하더라도 자녀에 대한 주된 책임은 여성에게 있다'는 인식은 2016년 54%에서 지난해 17%로 대폭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동시에 '가족의 생계는 주로 남성이 책임져야 한다'는 응답 비율은 42%에서 30% 수준으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같은 조사 결과에도 직장을 다니면서 육아를 병행하는 이른바 '워킹맘'들은 현실이 인식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(남편과) 둘이 맞벌이를 하고 있지만 엄마로서 역할이 더 요구가 된다고 해야될까. 회사에서도 조금 어렵고 그렇다고 아이를 놔둘 순 없으니까…양쪽 다 하기가 어려운 것 같아요."<br /><br />실제로 부부간 역할 분담 중 가사·돌봄을 '전적으로 또는 주로 아내가 부담한다'는 답변은 70%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하루 시간 활용에서도 일하는 시간은 남성이 여성보다 2.4시간 길었지만 가사 시간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1.6시간, 돌봄 시간은 0.8시간 길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도 돌봄 부담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.<br /><br /> "(아이가) 확진이 되거나 동선이 겹치는 경우에 남편과 저 둘 중에 누가 휴가를 내느냐를 문제를 봤을 때 결국에는 제가 무급휴가를 내게 되고…부담을 많이 하게 되더라고요."<br /><br />이번 조사에서 최우선 해결과제로 남성의 낮은 돌봄참여를 포함해 여성의 경력단절, 고용상 성차별 등이 꼽혔습니다.<br /><br />여가부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올해 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 (yigza@yna.co.kr)<br /><br />#성평등 #워킹맘 #가사_돌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