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"북, 사이버범죄로 제재 회피"…북한 해커 주의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가 어렵다는 북한이 무력 시위를 계속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은 북한이 제재를 피해 가상화폐 해킹 등 사이버 범죄로 무기 개발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암호화폐·블록체인 업계에 북한에 대한 사이버 안보 주의보를 내렸습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제 사회의 우려와 경고에도 북한은 무력 시위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제재를 받는 상황에서도 막대한 비용이 드는 미사일 시험 발사를 계속하면서 무기 개발의 자금원이 어디일지가 관심이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북한이 각종 사이버 범죄로 무기 개발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앤 뉴버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사이버·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"북한은 대량파괴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사이버 범죄 등 불법행위에 의존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사이버 범죄를 통해 유엔과 미국의 제재를 피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앞서 미 재무부가 북한의 가상화폐 지갑 주소를 제재 대상에 올린 것도 북한이 훔친 가상화폐 자금을 옮기지 못하게 동결하고 해당 지갑과 관련한 거래를 차단하기 위해섭니다.<br /><br />미국 연방수사국 FBI와 재무부, 국토안보부는 북한 해커 조직의 암호화폐·블록체인 업계 공격 가능성을 경고하며 사이버 안보 주의보를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정부는 북한의 지원을 받는 주요 해커 조직으로 라자루스, APT38, 블루노로프, 스타더스트천리마 등을 꼽고 있습니다<br /><br />특히 북한군 정찰총국과 연계된 라자루스는 지난달 블록체인 비디오 게임 '액시 인피니티'가 당한 6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해킹 배후로 지목됐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의 공격 대상은 암호화폐 거래소와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펀드, 블록체인 비디오게임, 거액의 대체불가토큰 보유자 등입니다.<br /><br />해커들은 트로이목마 바이러스가 포함된 암호화폐 애플리케이션을 피해자의 컴퓨터에 내려받게 하는 수법으로 보안을 뚫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_사이버_범죄 #대북제재_회피 #해커_조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