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속항원검사 정확도 저하 전망…"PCR 회귀" 의견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현재 의료기관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코로나에 확진된 것으로 인정되고 있죠.<br /><br />정부는 유행규모를 고려해 지금의 조치를 한 달 더 연장했는데 최근 확진 감소세가 확연해지면서 가짜 양성, 가짜 음성이 나올 확률이 커졌다는 점이 고민거리입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미크론 유행이 급증한 지난달, 정부는 의료기관에서의 신속항원검사 양성반응을 확진으로 인정했습니다.<br /><br />PCR 검사역량이 한계에 다다르고, 높은 유병률에 따라 검사 예측도가 올라간 점을 고려한 조치로 한 달 더 연장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확산세가 꺾이면서 양성 예측도는 조금씩 떨어지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보건소에서의 실시된 신속항원검사의 위양성률 추이를 보면, 유행이 최고조에 달했던 3월이 가장 낮았습니다.<br /><br />유행규모가 줄면 검사 정확도도 더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정부는 현재 여유가 있는 PCR 검사를 다시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낮은 치명률 등을 고려해 코로나의 일상의료체계 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곧장 회귀가 쉽진 않을 거란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당연히 PCR에 대한 이득이 더 높아졌죠, 정확도만 놓고 보면. 그런데 이제 감염병을 대응하는 프레임 자체가 바뀌어서… PCR을 받으라 하더라도 그걸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 돼 버렸죠."<br /><br />다만 고위험군에 한해선 신속항원검사 결과에 따른 우선 처방은 계속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(의심증상으로 온) 고위험군은 신속항원검사를 해서 양성이 나오면 일단 약을 무조건 써요, 그리고 PCR 검사를 하는 거예요. 신속항원검사를 한 다음에 확인을 하는 것도…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양성예측도가 아직 90% 수준을 유지하고는 있다며 향후 유행상황 변화를 고려해 정책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신속항원검사 #위양성 #PCR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