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 최고 부자 일론 머스크가 55조 원 규모로 트위터 인수에 성공하면서 트위터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표현의 자유의 '성지'가 될지, 아니면 부적절한 게시물이 판치는 '무법천지'가 될지 의견이 분분합니다. <br /> <br />이동헌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자신을 '표현의 자유의 절대주의자'라 칭하고 있는 '일론 머스크의 트위터'는 기존 미디어 규제와 규범의 틀에서 벗어나려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머스크는 앞서 트위터를 확 뜯어고치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제도적 규제와 주주의 요구에서 벗어나기 위해 비상장사로 전환하고, 트위터 알고리즘을 공개하며 광고 대신 구독 기반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공언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우려스런 것은 콘텐츠 규제 완화입니다. <br /> <br />머스크는 트윗 삭제와 계정 영구 정지 등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트위터에는 '굿바이 트위터'라는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이 집중적으로 올라왔습니다. <br /> <br />트위터가 증오와 편견이 판치는 무법의 지옥이 될 것이라며 트위터를 떠나겠다는 주장과 표현의 자유가 더 중시될 것이라며 떠날 사람은 떠나라는 주장이 맞섰습니다. <br /> <br />[아메드 바나파 / 산호세대학 교수 : 표현의 자유가 누군가에게는 증오의 발언이 되고, 법과 국가 정책을 위반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트위터에서 퇴출당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 복원 문제가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백악관은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에 직접적인 논평은 자제하면서도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젠 사키 / 백악관 대변인 : 바이든 대통령은 트위터 등 SNS 플랫폼에서 가짜뉴스가 확산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오랫동안 말해 왔습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러나 트위터로 돌아가지 않고 자신이 설립을 주도한 SNS플랫폼 '트루스 소셜'에 남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헌 (engle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42703271008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