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확산 변수 오미크론 변이 속출…"선제적 대응 필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확산세는 줄고 있지만 새로운 변이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죠.<br /><br />줄어든 유행 규모를 혹시 다시 늘리지는 않을지가 최대 관심인데요.<br /><br />면역 회피 변이 같이 이전과는 좀 다른 성질의 변이도 나오고 있어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에서 확인된 오미크론 계통 변이는 크게 두 가지, 오미크론과 스텔스오미크론의 재조합 변이, 최근 미국의 재확산 주범으로 꼽히는 스텔스 오미크론 세부 변이입니다.<br /><br />스텔스 오미크론 세부 변이는 한 주 전만 해도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것으로, 스텔스 오미크론보다 전파속도가 30% 가까이 빠른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 /><br />면역을 회피한다고 알려진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.4, BA.5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이어 각국으로 확산중인데 미국 14개 주에서도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하늘길이 열리면 이들 변이의 유입은 시간 문제라고 예상합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이들 변이가 유행 감소세를 곧바로 바꿔놓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문제는 높은 백신 접종률과 자연면역 효과는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감염을 통해서 습득한 면역도 오래 가지 않는 거고 백신을 통한 면역도 오래 가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…. 늦춰져 봐야 몇 주라고 생각을 해요."<br /><br />세부 변이분석에 역량을 더 쏟아야 한다고도 강조합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이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파악을 위해 시행한 전장 유전체 분석은 올들어 1만 5,000여 건, 이 기간 확진자의 0.1%도 안되는 수준입니다.<br /><br /> "변이 PCR에서도 잡히지 않는 어떤 새로운 변이체가 있느냐 하는 것들을 모니터링하고 찾아내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거죠. 우리는 그 부분이 미흡하다는 거죠."<br /><br />방역완화 흐름에 매몰돼 재유행을 막을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쳐선 안된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오미크론 #변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