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관계 경색 돌파구 기대…이전 정부 답습 우려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강제징용과 위안부 판결, 역사 왜곡 등 여러 갈등 현안에 한일 관계는 수년째 경색된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양국 관계 개선의 필요성과 기대감이 나오고 있지만 산적한 현안이 워낙 많고 국민 정서를 감안할 때 이전 정부 때와 별반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박성진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꼬일대로 꼬인 한일 관계가 풀릴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은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최악으로 평가되는 한일 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지속해서 피력해왔습니다.<br /><br /> "한일간에는 김대중-오부치 선언 2.0시대를 열고자 합니다. 과거사 문제, 경제 협력, 안보 협력 의제를 망라한 포괄적 해법을 모색하겠습니다."<br /><br />국정 과제에도 '셔틀외교' 복원을 통한 신뢰 회복을 토대로 공동의 이익과 가치에 부합하는 미래협력관계를 구축한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당선 축하 인사와 한일정책협의단 면담 등을 통해 관계 개선을 위한 양국 정상 간 협력과 소통 의지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수년간 악화일로를 걸은 한일 관계에 국민감정의 골도 깊어져 양측이 타협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일본 국민 10명 중 7명은 악화한 양국 관계가 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일제강점기 강제동원 노동자 배상 문제는 최대 난제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완전히 해결된 문제라며 한국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도 불씨로 떠오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 "한국이 이 문제에 대해 나름의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. 그래서 그들과 차분하고 정중하게 대화를 이어가고..."<br /><br />한일 관계에는 역사 문제 외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, 일본의 군사 대국화 문제 등 곳곳에 암초가 도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는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둔 기시다 총리가 자민당 내 강경파의 반대를 무릅쓰고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결단을 내릴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한편, 일본에서는 취임식에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이 총리 특사 자격으로 참석합니다.<br /><br />일본 외무상의 한국 방문은 2018년 6월 서울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계기로 고노 다로 당시 외무상 이후 약 4년 만입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연합뉴스 박성진입니다.<br /><br />#취임식_한일관계 #윤석열_기시다 #강제징용_사도광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