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"북 핵물질 생산 지속…플루토늄 이어 우라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핵 개발을 위한 플루토늄 생산을 유지하고 있고 우라늄 농축까지 확장해 핵물질 생산을 지속하고 있을 것이란 미 정보당국의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핵실험 재개가 임박했다는 관측을 뒷받침하는 징후들이 속속 제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김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르면 이달 중 북한이 핵실험을 재개할 수 있단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에서는 연일 관련 징후에 대한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북한의 탄도 미사일 개발 일정과 잠재적 핵실험에 대해 확실히 우려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애브릴 헤인스 국가정보국장은 북한이 플루토늄에 이어 우라늄 농축까지 확장해 핵물질 생산을 지속하고 있을 것이란 분석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미사일 역량 강화를 위한 시험도 이어갈 것이고 주기적으로 공격적인 위협에 나섬으로써 실질적 핵보유국으로서 지위를 인정받으려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자금 조달은 사이버 범죄와 유엔 금지물품 수출 등 불법 행위로 계속할 것이라며 북한이 미국의 핵심 인프라 네트워크와 기업의 인터넷을 일시 교란할 수 있는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다고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헤인스 국장은 북한이 현재 국제사회의 압박을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수준이라고는 느끼지 않는 것 같다고 분석하고 도발과 대화 제스쳐를 오가며 한미 갈등을 유발하려는 시도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잇단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미국 주도로 유엔에서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이 추진되고 있지만,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에 막혀 처리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한편 관련 논의를 위해 11일 소집된 유엔 안보리 회의는 한미일 3국이 함께 요청한 것이라고 외교부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 직접 이해 당사국으로서 회의에도 참석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한국 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안보리 회의 소집을 직접 요청한 건 올 들어 처음으로, 강력한 대북제재를 중시하는 새 정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김경희입니다.<br /><br />#핵물질 #우라늄 #안보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