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 약탈하고 수출길 봉쇄되고…"우크라 곡물을 지켜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'유럽의 빵 바구니'로 불리는 세계 3대 곡창지대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러시아의 침공으로 식량 생산과 수확이 어려워져 글로벌 식량 위기가 가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바닷길 봉쇄로 수출이 막힌 가운데 러시아군의 약탈까지 자행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국제사회가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크라이나의 올해 식량 생산 면적은 작년보다 3분의 1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의 침공으로 비료와 농약 등이 부족해졌고 농기구들은 파괴되거나 전쟁에 동원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농민들이 이미 힘겹게 생산한 곡물들도 수난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자포리자와 하르키우 등 곳곳에서 약탈한 곡물 50만t 가운데 상당량이 이미 지중해의 러시아 국기를 단 선박에 실려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친러 국가인 시리아가 목적지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군의 마수를 피한 곡물은 수출길이 막혀 있는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농산물 대부분을 수출하는 오데사항의 선박 입출항이 러시아군의 봉쇄와 계속된 미사일 공격으로 불가능해진 겁니다.<br /><br />상황은 흑해와 아조우해 전체가 비슷합니다.<br /><br />약 2,500만t의 곡물이 수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 /><br />이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세계 식량 위기 해소를 위해 이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국제사회에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 "오데사에서는 수십 년 만에 처음 상선의 일반적인 이동이 없었고 일상적인 항구 작업도 없었습니다. 아마도 2차 대전 후 처음일 겁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호응해 국제사회가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동맹 또는 다른 국가들과 함께 우크라이나 곡물의 대체 수출 루트를 찾고 있다고 밝혔고,<br /><br />유럽연합도 내륙을 통한 수송 방안 마련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#우크라이나_곡물 #러시아_약탈 #흑해_봉쇄 #오데사_공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