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국가가 책임져라'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..."조정위 활동 연장 거부" / YTN

2022-05-11 83 Dailymotion

가습기 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진 지 벌써 11년이 지났지만, 피해 보상 문제는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간기구인 피해구제 조정 위원회가 만든 최종 조정안은 가장 큰 금액을 부담해야 할 기업 두 곳이 거부하면서 무산됐는데요. <br /> <br />피해자들은 구속력 없는 조정위원회 활동을 연장하는 건 무의미하다며, 국가의 책임을 명시한 특별법 개정을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황윤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7년 전 가습기 살균제를 쓰던 아버지를 폐병으로 잃은 김미란 씨. <br /> <br />지난주부터 홀로 국회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조정위원회 활동 연장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6년 전 같은 자리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조사해 달라며 진상규명에 매달렸는데, 아직도 제대로 된 해결책은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미란 /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유족 : 사망한 피해자분 유가족이나 피해자들의 의견은 수용이 안 되는 거에요. 이해관계자라는 사람, 대기업이나 국회나 정부 쪽 분들만 만나서 이야기하고….] <br /> <br />김 씨가 여전히 1인 시위에 나서는 이유는 지난해 10월 출범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 조정위원회가 공전하고 있는 탓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조정위에서 가습기 살균제 판매 기업들이 모두 합쳐 최대 9천2백억 원을 부담하도록 하는 배·보상안을 마련했지만, 무용지물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정위가 민간기구라 강제력이 없다 보니 가장 책임이 큰 두 기업, 옥시와 애경이 부담금이 너무 크다며 조정안을 거부한 겁니다. <br /> <br />조정위는 두 기업을 설득하겠다며 지난 6일 활동 기간 연장을 결정했지만, 합의안이 나오긴 쉽지 않은 상황. <br /> <br />조정위 관계자는 YTN과의 통화에서 일부 피해자 단체의 요청을 받아 활동 연장을 결정하게 됐다면서, 피해자 단체들이 많아 모든 의견을 수렴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와 유가족들은 또다시 거리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의 책임을 명시하고 옥시와 애경의 책임을 포함하는 제대로 된 배·보상안 마련을 위해 특별법 개정을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순미 / 가습기 살균제 참사 VICTIMS 위원장 : 국가의 책임 인정, 특별법 재개정에 의한 통합 배상을 신속히 해주기를 촉구합니다.] <br /> <br />가습기 살균제 특별법은 지난 2020년 피해자 범위를 넓히는 내용으로 한 차례 개정이 이뤄진 뒤 별다른 논의가 없는 상황. <br /> <br />지난 3일 또 한 명의 피해자가 숨지면서 사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윤태 (hwangyt264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51121222093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