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원자잿값 급등에 곳곳 갈등...수도권 공사 중단 현실화? / YTN

2022-05-11 115 Dailymotion

수도권 철근콘크리트 연합회가 원자잿값 인상 등을 반영한 공사비 증액 요구에 협조하지 않는 현장 공사를 멈추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기는 추후 논의하기로 했는데, 셧다운이 현실화하면 건설업계뿐 아니라 실수요자도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최기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철근콘크리트 서울·경기·인천 사용자연합회 대표자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<br /> <br />'비협조 시공사 현장 셧다운' 찬반 투표를 진행했는데 참석자 34명 가운데 33명이 찬성표를 던졌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 공사 현장 340여 곳에 공사비 20% 증액을 요구했는데 부정적인 답변을 보내온 곳을 대상으로 공사를 중단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 회의 때까지 협상을 진행한 뒤 셧다운 시기를 결정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세현 / 철근·콘크리트공사업협의회 회장 : 저희가 생각지도 않은 물가 인상이 급속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기초해서 저희가 인상안을 요청하는 것이지 이유 없는 요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건설사와 협의회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전국 골조 공사 70% 정도를 차지하는 수도권 현장이 멈출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합회와 별개로 부산과 김해 등 일부 지역 레미콘 기사들은 이미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[원경환 / 전국건설노조 부산건설기계지부 사무국장 : 최근에는 물가도 급등하고 부품비, 수리비, 자재비가 대폭 인상되다 보니까 더욱더 생활이 힘듭니다. 2년 만에 다시 한번 (임금)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겁니다.] <br /> <br />갈등의 근본 원인은 원자잿값 급등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톤당 80만 원대에 거래되던 철근은 최근 114만 원까지 가격이 올랐고, 시멘트 가격도 톤당 8만 원대에서 11만 원대로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건설업계 수급 불안이 커지면서 지방에 있는 소규모 기업부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 건설사도 뼈대 공사 대신 다른 공사를 먼저 하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, 사태가 장기화하면 이마저도 어렵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[대형 건설사 관계자 : 원자잿값 인상에 따른 파업으로 현장도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. 당장 레미콘 타설 일정을 조정하는 등 현장도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에는 현장 운영에도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공사비 인상은 분양가 상승으로, 셧다운은 입주 일정 지연으로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[김진유 / 경기대학교 도시·교통공학과 교수 : 올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기성 (choiks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51122022934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