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 7차 핵실험 전 제재 추진하자는데…중·러 "완화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7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이 북한의 도발까지 기다리지 말고 추가 제재를 통해 북한을 옥죄어야 한다고 주장하자 한국 등 대부분 국가가 동조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추가 제제안에 맞선 제재 완화를 추진하며 어깃장을 놨습니다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들어 15차례나 미사일을 시험발사한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 복구를 거의 끝내는 등 언제든 7차 핵실험을 강행하려는 조짐을 보이는 상황.<br /><br />한반도 긴장 완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을 비롯해 한국과 일본의 요청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소집됐습니다.<br /><br />안보리 의장국인 미국은 북한의 추가 핵실험을 기다리지 말고 제재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북한이 핵실험과 같은 도발적이고 불법적이며 위험한 행동을 할 때까지 기다릴 수 없습니다. 우리는 북한을 규탄하기 위해 강하고 단결된 목소리를 높여야 합니다."<br /><br />한국과 일본은 물론 영국과 프랑스 등 다른 안보리 상임이사국, 노르웨이 등 대부분의 이사국들이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면서 미국에 동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(북한의 도발은) 한반도와 지역, 국제사회에 중대한 위협이 될 뿐 아니라 세계 핵 비확산 체제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기도 합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또 다른 제재는 긴장만 높일 뿐이라며 반대하면서 오히려 인도주의를 근거로 대북 제재 완화 결의안을 내며 미국과 충돌했습니다.<br /><br /> "유엔 헌장 7장을 연상시키는 미국이 제안한 새로운 결의안은 제재를 강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. 이는 현 한반도 정세를 푸는 데 적절하지 않습니다."<br /><br /> "러시아와 중국의 안보리 정치적 인도적 결의안 초안은 테이블 위에 올라 있습니다. 이는 당사자들이 협상 노력을 강화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북한은 핵·미사일 프로그램 때문에 2006년부터 유엔의 제재를 받아왔고 가장 최근의 제재는 2017년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#북한_핵실험_조짐 #유엔_안보리 #대북_제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