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신 지원 가능성 열어둔 미국…북한 태도 관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은 코로나19 발병이 확인된 북한에 당장 백신을 지원할 계획은 없다면서도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.<br /><br />백신을 거부해온 북한의 태도 변화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 건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백악관은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한 북한에 현재로선 백신을 보낼 계획이 없다며 북한이 백신 지원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을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상황에도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을 향한 불만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은 코백스의 백신 기부를 계속해서 거부해 왔습니다. 대신 그들은 불법적인 핵과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자원을 쓰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다만 당장 지원 계획이 없다해도 북한에 시급한 인도주의적 도움을 제공하려는 국제적 노력은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여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태도가 바뀔 경우 백신 지원에 나설 수 있단 뜻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 "단순한 백신이 아닙니다. 인도적 지원의 범위에서 북한 주민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우리는 국제적인 노력을 지지합니다."<br /><br />미국은 그동안에도 북한의 미사일 시험 등 무력 도발과는 별개로 백신 등 인도적 지원에는 열려 있단 입장을 견지해왔습니다.<br /><br />한국 정부도 대북 인도적 지원 의지를 밝히고 있는 만큼 다음 주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서 관련 방안이 논의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결국 북한의 태도가 관건이 될 전망인데 북한은 코로나 감염 사실을 공개한 직후에도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며 명확한 의중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김성한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과 첫 통화를 하고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일정과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대응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백악관은 "양측이 북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를 포함한 잇단 미사일 도발을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으로 규탄하고 긴밀한 공조를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진전시켜 나가기로 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"한미 정상 회담이 폭넓은 한미 동맹의 위력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란 데에 의견을 함께했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북한_코로나 #미국_백신 #안보실장_안보보좌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