넘쳐나는 수도권 쓰레기…'매립지 전쟁' 재점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6·1지방선거를 앞두고 수도권 매립지 문제가 또 한 번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서울과 경기도의 매립지 사용 시한은 이제 몇 년 남지 않은 상황으로, 새로운 매립지 확보는 더는 미룰 수 없는 '발등의 불'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수도권 쓰레기 처리를 둘러싼 지자체 간 신경전은 올해도 예외가 아닙니다.<br /><br />벌써부터 폐기물 반입량을 위반한 지자체가 속출하면서, 수도권 매립지가 있는 인천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기도 화성시와 서울 강서구가 1년 치 생활폐기물 할당량을 초과했고 양평군·용인시, 강남구 등의 할당량도 80%를 넘겼습니다.<br /><br />반입총량제 위반은 제도 시행 첫해인 2020년부터 매년 반복되고 있고, 관계기관은 규제 강화를 고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지난 30년간 수도권 쓰레기를 반입받아 처리해온 인천은 2025년 매립지 사용 종료를 예고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인천은 영흥도에 자체 매립지를 조성할 예정이지만, 서울과 경기도는 부지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갈등의 불씨는 선거를 앞두고 또 한 번 되살아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대체 매립지는 경기북부 포천이라고 지금 제가 알고 있거든요. 서울, 경기는 그쪽에 가서 친환경 (소각재만 묻으면 된다)"<br /><br /> "환경부, 경기도청, 포천시도 모르는 '포천 대체 매립지'를 도대체 누구와 협의했는지 밝혀주십시오."<br /><br />매립지 문제는 수도권만의 현안이 아닙니다.<br /><br />환경당국은 전국 200곳이 넘은 공공매립지 중 절반 이상이 2030년쯤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더욱 다각화하고, 속도를 끌어올려야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.<br /><br />#쓰레기 #매립지 #공공매립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