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전문가 "'안보는 미국·경제는 중국' 틀 깨져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 매체들은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두고 파격적인 장면들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한미 정상이 발표한 공동성명에 대해 '외교·안보는 미국, 경제는 중국'이라는 한국 외교의 틀이 깨진 것이라는 중국 전문가의 분석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인터넷판 '인민망'은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번 방한에서 두 가지 파격적인 부분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대통령이 일본보다 한국을 먼저 방문했고, 한국의 새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기 전 미국 대통령이 먼저 한국을 찾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인민망은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을 중국 견제에 더 끌어들이기 위한 의도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관변 매체 글로벌타임스 역시 삼성전자 방문을 방한 첫 일정으로 잡은 바이든 대통령의 진짜 목적은 '중국 견제'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는 바이든 대통령의 일본 방문 기간 출범하게 될 중국 견제 성격의 인도·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, IPEF에 대해 줄곧 날이 선 반응을 보이며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IPEF와 관련해 중국은 지역 경제 협력의 틀은 시대적 흐름에 맞춰 신뢰와 협력을 증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 제3자를 겨냥하거나 제3자의 이익을 해쳐서는 안 되고 명확한 선택성, 배타성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."<br /><br />중국의 한 국제문제 평론가는 한미 정상의 공동성명과 관련해 핵심은 양국의 군사동맹을 경제·기술 동맹으로 격상한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그는 한국 외교 전략의 방향성이 크게 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하면서 '외교·안보는 미국, 경제는 중국'이라는 틀이 깨진 것이라는 주장을 펼쳤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한국 외교전략의 중대한 변화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, 중국과의 경제무역관계 그리고 한반도 문제를 거론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# 중국 # 바이든 # 한미동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