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, 중국 견제 전선 확대했지만…효과는 물음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을 계기로 미국이 안보에 이어 경제로까지 대중국 견제 전선을 확대하고 나섰지만 그 실효성에는 물음표가 붙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조치로 미중 갈등은 한층 격화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강병철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본으로 건너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서보다 한층 강력한 중국 견제 메시지를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일정상회담 공동성명에 중국의 핵 능력 증강 등에 대한 경고를 직접 담았고 대만 방어를 위해 군사개입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어느 때보다 강력한 긍정의 답변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 "(대만 방어를 위해 군사적으로 개입 할 의향이 있습니까?) 네. 그것은 우리가 한 약속입니다."<br /><br />인도·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, IPEF를 출범시키며 대중국 견제전선을 경제로까지 넓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미중 갈등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이는 이 협의체의 실효성을 두고는 물음표가 붙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을 비롯해 중국 인근의 주요 국가가 대거 동참했고 참여국들의 경제적 비중도 중국 주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능가하지만, 내용적으로는 구속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관세 인하, 시장 개방 등의 조치가 없는 상황에서 가입국가 입장에선 실질적으로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가 모호해,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앞으로도 미국이 관세 조치 등을 다루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이 협의체는 21세기 경제 경쟁력을 확보에 있어 가장 중요한 도전에 대해 우리의 가까운 친구 및 역내 파트너들과 협력하기 위한 약속입니다."<br /><br />중국의 강력한 반발도 운영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일단 느슨하게 출범하면서 아세안에서도 많은 나라가 동참했지만 중국의 반발 강도가 높아지면 참여국들의 중국 눈치 보기가 심화할 수 있단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대중국 견제가 목표이면서 대만을 뺀 것도 의아하다는 반응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강병철입니다.<br /><br />#미일_정상회담 #인도태평양_경제_프레임워크 #쿼드 #하나의_중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