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약이 세상에 나오려면 동물실험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동물실험 결과가 임상시험 결과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 데다 수많은 동물이 불필요하게 많이 희생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 대체 실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합니다. <br /> <br />최소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은 잘 감염시키지만, 쥐를 감염시키지는 못합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코로나 치료제를 검증하기 위해선 병에 걸리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쥐를 사용하는데, 그럼에도 쥐와 사람의 생물학적 특성이 달라 사람에서 나타날 결과를 정확히 예측하긴 힘듭니다. <br /> <br />동물 실험을 통과한 약물이 임상 시험까지 통과할 확률이 8%에 불과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은 신약의 효능과 독성을 더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사람의 편도를 그대로 축소한 미니 장기 '편도 오가노이드'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람 편도를 잘게 잘라 편도 세포를 얻고, 영양분등을 공급해 편도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도록 키워낸 겁니다. <br /> <br />[유종만 / 오가노이드 회사 대표 : (오가노이드의 반응이) 인체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매우 유사함을 밝혔습니다. 여러 치료제를 테스트할 수 있는 형태의 모델로 개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장기의 미세 구조뿐 아니라 장기 외부 환경까지 모사한 칩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간 줄기세포를 심장 세포로 키워내 반도체 공정으로 정교하게 제작한 칩 속에 넣었습니다. <br /> <br />동전 크기 만한 작은 칩이지만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실제 심장근육처럼 콩닥콩닥 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혈관세포나 신경세포까지 배양한다면 심장이 주변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성호 / 장기모사칩 회사 대표 : 간과 심장, 여러 장기가 연결된 멀티칩을 개발해서 향후에 동물실험을 뛰어넘어 임상시험도 대체 가능한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합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오가노이드와 장기 모사칩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만, 상용화까지 갈 길은 멉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신약 후보 물질은 임상시험 전에 동물실험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현행 규정이 넘어야 할 가장 큰 산입니다. <br /> <br />미니 장기나 장기칩이 동물 실험을 대체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, 불필요한 동물 실험을 줄이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최소라입니다. <br />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52813242814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