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서 맞선 남북…미중도 제재 불발 책임 공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잇단 미사일 도발에 대한 추가 제재 문제를 놓고 남북이 유엔 총회에서 맞섰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중국은 제재 결의안 불발의 책임 소재를 두고 공방을 벌였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사]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의 대북 제재 거부권 행사 문제를 논의하는 위해 소집된 유엔총회 회의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남북은 팽팽히 맞섰습니다.<br /><br /> "한국은 북한의 거듭된 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합니다. 우리는 북한에 도발을 멈추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 요청에 응할 것을 촉구합니다."<br /><br /> "(미국이 추진한 결의안 채택 시도는) 유엔 헌장과 국제법 정신에 위배된 불법 행위로 단호히 반대하고 비판합니다. 자위권 행사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주권국가의 적법한 권리입니다."<br /><br />한국은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13개 안보리 이사국이 추가 제재 결의안에 찬성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북한의 계속된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규탄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도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있고 코로나19에 대한 무조건적인 원조의 손길을 계속 내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화의 여지를 남겼습니다.<br /><br />김 성 북한 대사는 연설에서 한국은 직접 거론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대신 주로 미국을 겨냥했는데 2차 대전 이후 10개 이상의 나라를 침략하고 무고한 시민 수십만 명을 숨지게 한 유일한 유엔 회원국은 미국이라면서 유엔은 왜 미국의 미사일 시험발사는 규탄하지 않느냐고 반문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는 대북 제재 거부권 행사 배경을 설명하는 자리에서도 북한을 감싸고 미국의 책임론을 제기하며 국제사회와 평행선을 달렸습니다.<br /><br />장쥔 주유엔 중국대사는 미국이 한반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임을 져야 한다며 조건 없는 대화 준비가 됐다고 말로만 하지 말고 제재 완화와 연합군사훈련 중단 등의 행동으로 보여줄 것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도 "제재를 통한 안보 보장은 이미 실패했다"며 중국의 주장에 힘을 보탰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중국과 러시아가 거부권 행사로 북한의 도발을 묵인하고 있다고 맞섰습니다.<br /><br />제프리 드로렌티스 주유엔 미국 차석대사는 "거부권 행사 9일 뒤 북한은 8발의 탄도미사일을 더 발사할 정도로 대담해졌다"며 "이 모든 일이 7차 핵실험 준비를 마무리하는 가운데 이뤄졌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유엔총회 #안보리_결의안 #북한_도발 #ICBM #한반도_비핵화 #CVID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