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, 중에 뺏긴 중남미 영향력 회복 노려…출발부터 삐걱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남미 여러 국가에서 중국이 미국을 따돌리고 최대 교역국 지위를 굳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미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정부 시절 소원했던 중남미와의 관계 복원을 꾀하려 공을 들이고 있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의 뒷마당인 중남미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으로 묶인 멕시코를 제외한 중남미 일부 국가와 중국의 수출입 규모는 2천470억 달러, 이들 국가와 미국의 교역 규모는 1천740억 달러였습니다.<br /><br />브라질, 칠레, 페루 등의 1위 교역 파트너도 중국입니다.<br /><br />멕시코를 뺀 나머지 중남미 지역의 대중 교역 규모는 트럼프 정부 때부터 이미 대미 교역보다 많아졌고, 지난해 1월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이 대규모 인프라 투자 등으로 중남미를 공략하는 반면 미국은 구체적인 계획이나 행동 없이 '빈손'으로 설득하려 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중남미와의 관계 복원을 공언한 바이든 행정부가 이번 주 열리는 미주정상회의에 공을 들이는 것도 이런 맥락 때문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회의 첫날 중남미 국가와 관계 강화를 위해 '경제 번영을 위한 미주 파트너십'(APEP) 구상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아시아 순방 당시 출범시킨 인도·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번엔 중남미에서의 중국 경제적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의도입니다.<br /><br />미 고위당국자는 초가을에 협상이 시작될 것이라며 파트너십의 출범이 중국에 대항하려는 목표를 강화하려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파트너십 외에도 이민자 문제 해결 등 각종 유인책을 제시하며 중남미 국가의 협력 유도에 공을 들이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미국은 이미 이번 회의에 일부 국가가 불참하면서 체면을 구겼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쿠바, 니카라과, 베네수엘라 정상을 독재자라는 이유로 초청 대상에서 제외하자 멕시코 대통령이 이에 반발해 불참키로 했고 과테말라와 온두라스 정상도 가세했습니다.<br /><br /> "(미국이 몇몇 나라 초청하지 않는데 대해) 무례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매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이미 10년 전인 2012년 콜롬비아 카르타헤나에서 이것에 대해 논의했습니다."<br /><br />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 저지라는 미국의 목표대로 이 파트너십이 흘러갈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<br /><br />#중남미 #미주정상회의 #중국_교역 #멕시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