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인상vs동결'…평행선 달리는 최저임금 논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물가가 폭등하면서 내년도 최저임금을 둘러싼 노동계와 경영계의 갈등의 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대폭 인상을 주장하고 있고, 자영업자를 비롯한 경영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힘든 상황에서 인건비까지 오르면 부담이 커질 거라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두고 국회 앞에 모인 자영업자들은 과도한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며 동결을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화물연대 파업 같은 대내외 악재가 겹친 상황에서 최저임금까지 오를 경우 고용을 줄이는 등의 각종 부작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최저임금은 적어도 몇 년 동안은 동결 내지 하향해야 합니다. 현재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 이것이 우리 자영업자들에게는 엄청난 고통으로 다가올 것입니다."<br /><br />전국경제인연합회가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51.8%가 현재 최저임금이 경영에 많이 부담된다고 응답했고, '부담이 없다'고 응답한 자영업자는 14.8%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노동계는 내년도 최저임금으로 올해 9,160원보다 30% 정도 많은 1만1,860원은 돼야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 물가가 6% 가깝게 오르면서 저임금 근로자들의 삶은 더 힘들어지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경제 악순환으로 피해를 보는 계층은 더 이상 생활비를 줄이려고 해도 줄일 수 없는 저임금 취약계층 노동자입니다. 가구 생계비를 최저임금 핵심 결정 기준으로써 적극 고려해주시길…"<br /><br />현재까지 알려진 노사 간 내년 최저임금 격차는 최대 2,700원.<br /><br />양측이 최저임금 수준은 물론 업종별 차등적용에 대해서도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오는 16일 열리는 최저임금위원회 4차 전원회의에서도 평행선을 달릴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#최저임금 #16일_4차회의 #물가 #노동계 #경영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