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가 급등에 화물연대 파업으로 물류 차질이 빚어지면서 해외에서 들여오는 수입 농수산물 가격도 들썩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수입 과일은 가격이 너무 올라 상인들이 매대에도 내놓지도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상황,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. 황보혜경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마포농수산물시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수산물은 특히 물류 차질에 곧바로 영향을 받을 텐데요. <br /> <br />상황이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은 참치나 새우, 동태와 같은 수입 수산물을 판매하는 곳입니다. <br /> <br />일식당이나 개인 고객들에게 도·소매로 식자재를 공급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곳 상인은 유류비 상승으로 운임 부담이 커지면서, 매출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호소합니다. <br /> <br />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강영호 / 수입수산물 상인 : 가격이 예전보다 20% 이상 상승이 돼서 상당히 판매하는데 애로가 많고요, 물건 구하느라 애로가 커요. 판매했을 때도 이윤 폭이 너무 줄어서 힘들게 장사하고 있어요.] <br /> 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도 가격 인상의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게에서 취급하는 수입 수산물 150종류 가운데 러시아에서 들여오는 냉동 수산물이 30~40%를 차지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일주일에 한 번 들어오던 물건이 지금은 2~3주는 기다려야 받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수급 차질은 가격 상승으로도 이어져서 냉동 명란 같은 경우 20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가격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화물연대 파업 이후 상황이 더욱 악화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부산이나 인천에서 수입한 물건을 컨테이너 차량으로 옮겨야 하는데 세관에 발이 묶여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화물연대 파업 이후 물량의 10% 정도가 아예 공급이 안 되면서 새우나 소라, 주꾸미, 오징어 등 전반적인 품목 수급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파업으로 인한 가격 영향이 크지 않지만, 이대로라면 장기적으로 가격이 오르는 건 시간 문제라고 상인들은 얘기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수입 과일 역시 유가 등에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품목인데, 가격이 오르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청과물 시장 쪽을 돌아다녀 보니 매대에 과일 종류가 몇 개 없는 점포들도 눈에 띄었습니다. <br /> <br />수입 과일 가격이 너무 올라 손님들이 살 엄두를 못 내서 아예 꺼내놓지 않은 건데요. <br /> <br />실제로 체리를 사러 왔다가 생각보다 높은 가격 때문에 그냥 돌아간 경우도 볼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수입 과일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61414055279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