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 "제재 충격 예상보다 작다"…제재 효과는 언제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석유와 가스값이 고공 행진을 하자,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 제재가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경제 충격이 예상보다 작을 것이라는 자체 평가까지 내놓았는데요.<br /><br />제재 효과는 올 하반기부터나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의 올해 12월 연간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15% 정도.<br /><br />4월 말 제시한 20.7%보다 낮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 20년 만에 최고치를 보였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5월에는 소폭 둔화했습니다.<br /><br />폭락했던 루블화 가치는 2018년 수준으로 회복했고,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5개월 만에 3배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경제 충격이 예상보다 작을 것이라는 자체 평가까지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이유는 역시 고공행진 중인 석유와 가스 가격 덕분입니다.<br /><br /> "(루블화 결제) 시스템은 의도한 대로,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. 가스 수입국들은 이미 이 새로운 시스템에 맞춰 움직이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만약 이런 흐름이 계속된다면 올해 러시아는 에너지로 연간 총 3천억 달러, 약 387조 원을 벌어들이게 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추산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제재로 동결된 러시아 중앙은행의 보유외환 총액과 비슷한 규모로, 제재가 거의 무력화되는 셈입니다.<br /><br />국제금융연구소는 "러시아가 무역 흑자를 보는 것은 시간이 흐를수록 제재 충격을 완화할 장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"라며 "결국 제재의 효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"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서방이 자국의 고물가·에너지가 급등 같은 부작용을 우려, 제재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는 점도 러시아에 유리한 상황.<br /><br />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결국 러시아 경제도 휘청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올 하반기부터 제재가 효과를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빈곤율 등 제재의 충격이 드러나는 경제 지표도 적지 않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무급휴직·임금 삭감 등으로 버텨오던 기업이 직원을 내보내기 시작하면 실업률이 치솟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<br /><br />#제재 #러시아_경제_에너지 #루블_환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