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계 수학자가 처음으로 수학계 노벨상인 '필즈상'을 수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우리나라가 국제수학연맹의 최상위 그룹에 선정되는 데 이어 필즈상 수상까지 이어지며 한국은 명실상부 수학 선진국으로 인정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 시상식에 한국계 수학자가 처음으로 무대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주인공은 올해로 만 39세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입니다. <br /> <br />허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미국 국적을 갖고 있지만 두 살 때 한국으로 건너와 석사까지 한국에서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학부 시절 물리천문학과를 전공했던 허 교수는 박사 과정 첫해인 지난 2012년, 수학계의 오랜 난제였던 '리드 추측'을 해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'경우의 수'와 비슷한 조합론 문제를 대수기하학으로 해결해 '조합론에 혁명을 일으켰다'는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2018년에는 로타 추측마저 해결했으며, 강한 메이슨 추측, 다우링-윌슨 추측 등 허 교수가 해결한 난제는 10여 개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[허준이 /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: 제가 어렸을 때, 수학은 내가 오를 수 없는 거대한 벽에 둘러싸인 멀리 있는 땅과 같았습니다. 저는 한국에서 자랐고,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하는 시인이 되는 게 꿈이었습니다. 결국, 수학이 그것을 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.] <br /> <br />필즈상은 수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낸 만 40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으로, 수학계 최고 영예입니다. <br /> <br />허준이 교수와 함께 고차원에서의 케플러 추측을 해결한 우크라이나 출신의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등 총 4명이 올해 필즈상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계 수학자의 첫 필즈상 수상과 함께 우리나라는 올해 초 국제수학연맹으로부터 최고 등급인 5그룹으로 승격됐습니다. <br /> <br />1981년 최하위 등급인 1그룹으로 국제수학연맹에 가입한 지 41년 만의 일로, 가입국 가운데 최단 기간 이뤄낸 성과입니다. <br /> <br />[금종해 / 대한수학회 회장 : 세계적으로 한국 수학자를 인지하는 경우가 많아서 단지 논문의 숫자뿐 아니라 질적, 양적으로 우리와 경쟁하는 모든 나라의 수학자들로부터 한국 수학이 세계 최고 수준인 그룹5로 올라가도 충분하다고 인정받은 거예요.] <br /> <br />이와 함께 금종해 대한수학회 회장도 국제수학연맹 집행위원으로 새로 선출돼 우리나라는 '수학 선진국'의 위상을 인정받게 됐습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70523183704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