길 잃은 새 섣부른 구조 금물…"자생능력 잃게 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둥지를 옮기는 이소 과정에 있는 어린 새들은 비행 실력이 서툴러 땅에 떨어져 사람들에게 발견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연간 야생동물 구조건수의 26%가 5월달에 집중되는 이유인데요.<br /><br />섣부른 구조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강창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른 손가락 크기보다 작은 어린 새가 먹이를 먹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참새목에 속하는 딱새라는 새인데 야외 수업을 하던 어린이집 선생님과 아이들이 발견해 보호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정자 처마 밑 둥지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발견해 동물보호센터에 신고했습니다.<br /><br /> "바닥에 뭐가 꿈틀거리는 게 있어서 봤더니 정자 구멍 아래쪽에 새끼 새가 바닥에서 이제 바들거리고 있더라고요. 말라 죽을 것 같아서…."<br /><br />이처럼 매년 5월이면 어미를 잃은 새끼 야생동물의 구조 건수가 연간 전체 건수의 30%에 육박할 만큼 급증하고 이 중 대부분은 조류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어미와 살던 어린 새가 둥지를 떠나는 이소 과정에서 비행 능력이 서툴거나 낯선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사람들에게 발견되는 겁니다.<br /><br /> "산란기를 마치고 나서 5월에 이소하는 시기예요. 이소하던 시기다 보니까 이게 사람들 눈에 자주 띄는 거죠."<br /><br />하지만 섣부른 구조는 야생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을 배울 기회를 빼앗아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산이나 공원 주변에서 발견될 경우 가급적 무관심하게 놔두는 것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경기도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는 구조된 야생동물을 보호하고 치료해 자연의 품으로 돌려보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창구입니다. (kcg33169@yna.co.kr)<br /><br />#야생동물 #조류 #둥지 #경기도_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