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·우크라, 곡물운송 조정센터 합의…"내주 타결 기대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흑해에서의 곡물 운송을 위한 주요 쟁점에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이 재개될 가능성은 커졌지만, 평화협정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산 식량의 해상 수출이 막힌 이후 처음으로 양국이 직접 만났습니다.<br /><br />세계 식량 위기가 악화하면서 중재에 나선 튀르키예와 유엔 대표단까지 참석한 이번 회담에서는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재개 방안이 논의됐고, 성과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 "항구의 입출구에서 공동 통제를 수행하는 공동조정센터를 설립하고 곡물 등 식량을 운송할 선박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해…(많은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 합의에 도달했음을 확인했습니다.)"<br /><br />대표단은 다음 주에 다시 만나 세부 사항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"중요하고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"고 평가하면서도 최종 합의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바라건대 다음 주에는 최종 합의에 이를 수 있을 것입니다. 하지만 말했듯 여전히 모든 당사자들의 선의와 헌신이 필요합니다."<br /><br />현재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 이후 흑해가 봉쇄되면서 2천만t이 넘는 곡물의 수출길이 막힌 상태입니다.<br /><br />곡물 협상에서의 진전과 달리 두 나라의 평화협정은 요원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평화 협상을 위해 영토를 양보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"우크라이나의 목표는 영토의 완전성과 동남부 지역의 주권을 완전히 회복하는 것"이라며 이는 "물러설 수 없는 입장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구테흐스 사무총장도 평화 협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"여전히 갈 길이 멀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우크라이나_곡물수출 #흑해_안전보장 #세계식량위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