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솟는 물가에 학교 급식실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비용 부담 때문에 재료를 바꾸거나 육류 비중을 줄여야 하는 등 고민이 커지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정인용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저는 서울 잠일초등학교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요즘 식자재 가격이 너무 올라 급식을 준비하는 영양교사들도 애를 먹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마침 점심시간이라 오늘 급식판을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와 비교하면 이 차돌박이 된장찌개에 들어가는 소고기 등 육류 가격이 무려 20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차돌 숙주 볶음 같이 소고기가 많이 들어가는 메뉴 대신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사용되는 국물 요리로 대체했는데요, <br /> <br />바로 옆에 이 떡갈비 구이 같은 가공식품이나 토마토 등 농산물도 전년 대비 모두 5~10% 정도 값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전체 재룟값을 비교해보니, 평균적으로 전년 대비 10% 이상 오른 거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학교는 고기의 부위를 변경하거나 고기 종류를 바꾸기도 하고, 재룟값은 비싼데 잔반이 많이 나오는 채소 일부를 줄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아이들의 입맛을 고려하면 고기 공급 횟수를 줄일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곳 급식실에선 우유가 부식으로 제공되지 않아서, 그나마 고물가 속에서도 나름 재료의 균형을 맞추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하지만 2학기에도 지금과 같은 물가 상승 흐름이 계속되면 현재 주 3~4회 정도 제공되는 후식용 과일 등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영양교사 이야기 한 번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기숙 / 서울 잠일초 영양교사 : 축산물 부위를 저렴한 부위를 사용한다거나 조리법을 변경한다거나 아이들의 부찬을 줄인다거나 그런 식으로 식단을 변경하고 있습니다. 지금 급식 예산은 물가 상승률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2학기는 더 어려울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현재 유치원과 초·중·고등학교에서 모두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죠. <br /> <br />따라서 물가 상승으로 급식비가 올라도 학부모들에게 추가 비용이 전가되는 구조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대신, 급식비 예산을 분담하는 개별 교육청과 지자체의 부담이 커지는데요. <br /> <br />서울 등 일부 지역의 경우, 교육청과 지자체가 2학기부터 예산을 소액 올리기로 했지만, 여전히 물가 상승 폭에는 못 미치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또, 예산 여유가 있는 일부 교육청만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인용 (quotejeo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71811521577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