잠시 뒤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4년 7개월 만에 열립니다. <br /> <br />강제동원 피고인 일본 기업의 자산 현금화 등 임박한 현안을 놓고 의견을 나눌 것으로 예상되는데요. <br /> <br />일본 연결해 이번 회담의 의미와 전망 알아봅니다. 이경아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도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박진 외교부 장관이 곧 일본에 도착하죠? <br /> <br />[답변1] <br />박진 장관은 1시간쯤 뒤 하네다 공항에 도착해 이번 회담에 임하는 입장을 취재진에게 밝힐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그 뒤 바로 도쿄 시내 한일 외교장관 회담 장소로 이동합니다. <br /> <br />이번 회담은 오후 4시를 조금 넘겨 시작해 1시간 정도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그 뒤 만찬을 겸한 논의가 1시간 반 정도 잡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일 외교장관 회담은 지난 2017년 12월 이후 4년 7개월 만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박진 외교부 장관은 장관 후보 시절인 지난 5월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하야시 외무성 장관과 만났는데요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하야시 장관은 "가능한 빨리 도쿄에서 다시 만나자"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 장관은 당초 지난달 중순 일본 방문을 추진했다 한 달 정도 일정을 늦췄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본 정부가 선거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신중한 입장을 고수한 데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회담의 핵심 의제는 강제동원 배상 판결의 피고인 일본 기업 자산의 현금화 문제인데요. <br /> <br />어떤 얘기가 오갈 것으로 보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 정부는 이번 회담에서 지난 4일 출범한 강제동원 문제 민관협의회 활동 등을 설명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민관협의회 출범 이후 강제동원 문제 해법으로 한일 양국 기업이 참여하는 기금을 통해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 등이 본격적으로 거론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재판에서 승소한 피해자들은 피고인 일본제철 등이 반드시 이 기금에 참여하고 사과하는 것이 전제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본 측은 지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배상 문제 등이 모두 해결됐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정부가 한일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일본 입장은 국내 문제이니 한국이 해결하라는 입장 그대로입니다. <br /> <br />이뿐 아니라 일부 피해자들은 민관협의체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논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과 일본 정부, 그리고 피해 당사자들이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해법을 찾는 것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71814083307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