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코로나19 관련 자살 최소 29건..."경고 신호 보내지만 인지 못해" / YTN

2022-07-19 7 Dailymotion

최근 7년 자살자 801명의 심리부검 분석결과 발표 <br />코로나 이후 2년 132건 중 29건 ’코로나 연관’ <br />"코로나 이후 사회적 고립·경제문제 등이 영향"<br /><br /> <br />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 대부분은 사전에 경고 신호를 보내지만, 가족들이 눈치채는 비율은 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자살자의 심리 부검을 해봤더니 최근 2년간 코로나19와 관련된 자살이 최소 29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죽음의 물리적 원인을 찾는 게 부검이라면 자살의 심리적 원인을 찾는 게 심리 부검입니다. <br /> <br />2015년부터 작년까지 7년 동안 자살사망자 801명의 유족 95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2년의 심리 부검 132건 가운데 29건이 코로나19와 연관된 자살로 분류됐습니다. <br /> <br />29명 모두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자살위기에 취약했지만, 코로나 이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 문제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얘깁니다. <br /> <br />특히 대부분 자살은 하나가 아닌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자살자는 사망 전 평균 3.1개의 스트레스 사건을 동시에 경험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트레스 유형별로는 가족관계, 경제, 직업 스트레스 순으로 많았는데, 코로나 연관 사례에선 경제 스트레스가 가장 커 코로나 불황의 심각성을 보여줬습니다. <br /> <br />또 심리 부검 대상 열에 아홉 이상은 (94.0%) 사망 전에 주변을 정리하거나 죽음을 언급하는 등 경고신호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그걸 알아챈 가족이나 지인은 넷에 하나도 되지 않았고, (22.7%) 눈치를 챈 경우에도 절반 가까이는(46.2%) 대처를 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상자의 열에 아홉은(88.6%) 정신과 질환이 있었고, 여덟 넘게(82.1%)는 우울장애였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 번 이상 자살 시도를 했거나 자해를 했던 경우가 각각 35.8%와 10.2%로 나타나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재시도를 통해 사망에 이르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대상자의 절반 가까이가 생전에 가족이나 지인을 자살로 잃은 이른바 '자살 유족'이었고 면담에 참여한 유족들 역시 열에 여덟 이상이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유족의 60.9%는 중증도 이상의 우울 상태여서 남은 사람들에 대한 사후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[원소윤 /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 : 심리 부검 면담은 자살원인에 대한 분석정보를 얻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기정훈 (prod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71918153616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