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은 빈손이었는데…푸틴, 중동서 반미연대 실속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동 순방을 마무리한 지 사흘 만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중동으로 갔습니다.<br /><br />이란에서 터키 등 3개국과 정상회담을 하기 위해서인데, 빈손으로 귀국했던 바이든 대통령과 달리 반미연대 측면에서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터키 그리고 이란과 정상회담을 위해 테헤란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푸틴 대통령이 구소련 밖 국가를 찾은 건 이번이 처음.<br /><br />그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, 세예드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과 3자 또는 양자 회담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 지역의 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해 3자 형식으로 추가 조처를 하는 것은 바람직합니다."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은 특히 우크라이나와 전쟁과 관련해 이란의 강력한 지지를 얻었습니다.<br /><br />그가 라이시 대통령과 회담 후 예방한 최고지도자는 "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보내지 않았다면 훗날 나토의 공격에 직면했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이 침공 이유로 내세운 나토의 동진 주장에 동조하는 발언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 이란은 모두 미국의 강력한 제재를 받게 되면서 한층 밀착하고 있는데, 미국은 이란이 러시아에 수백 대의 드론을 공급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라는 정보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은 보수 문제를 들어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 노르트스트림1 공급량의 추가 감축을 시사하면서도 이란에는 우리 돈 50여조 원 규모의 천연가스 개발 협약이라는 선물 보따리를 풀었습니다.<br /><br />그는 우크라이나와 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는 튀르키예와 관계 강화에도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(지난주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재개를 위한) 이스탄불 회담에서 러시아 대표단은 매우 긍정적으로 접근했습니다. (자막 전환) 회담 결과는 전 세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."<br /><br />경제난 속에 러시아에 크게 의지하는 튀르키예는 나토 회원국이지만 대 러시아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스웨덴과 핀란드의 나토 가입을 반대했다 철회했던 에르도안 대통령은 최근 다시 반대로 돌아설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#푸틴 #반미연대 #바이든 #중동 #튀르키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