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은 지난 13일이죠, 기준금리를 0.5%(퍼센트 포인트)올리는 빅스텝을 사상 처음으로 단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도 전례가 없는 상황에 기준금리를 단 번에 무려 0.5%(퍼센트 포인트)씩이나 올린 겁니다. <br /> <br />이전 금융통화위원에서는 0.5%(퍼센트 포인트)를 올려야 한다는 금통위원의 소수 의견조차 없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2022. 7. 1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<br /> <br />“50bp 올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무거운 책임감 느낍니다” <br /> <br />무거운 책임감이라는 말이 무척이나 인상적으로 들리는데요,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6%(퍼센트)대로 높아지고 그 속도도 빨라지는 상황이기에 시중에 흐르는 돈의 양을 조절하여 물가 안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평소보다 더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올리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정책금리인 기준금리는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되는 걸까요? <br /> <br />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, 일명 금통위 회의를 통해 결정됩니다. 금통위의 인원 구성은 한국은행 총재와 부총재 등 당연직 금통위원 2명과 한국은행 총재, 기획재정부 장관, 금융위원회 위원장, 대한상공회의소 회장, 전국은행연합회 회장이 각각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한 총 7명으로 구성됩니다. <br /> <br />과거에는 ‘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' 를 매월 개최하여 기준금리를 결정하였는데요, 2017년부터는 미국 연방준비제도(Fed), 유럽중앙은행(ECB) 등과 마찬가지로 1년에 총 8번 개최하고 금리를 결정하고 있고요, 이 회의에 금통위원이 5명 이상 출석하고, 출석한 위원 중 과반수가 찬성하면 기준금리가 결정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는 통상적으로 0.25%(퍼센트 포인트)씩 오르고 내리는데요, 그렇다면 0.25%(퍼센트 포인트)라는 조정폭의 기준은 무엇일까요? <br /> <br />이는 미국의 1980년대 상황에서 비롯됐다고 합니다. 당시 미국은 2번의 오일쇼크로 물가가 치솟는 상황에, 극단적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당시 연준 의장이었던 ‘폴 볼커'는 기준금리를 한 번에 4%(퍼센트 포인트)를 올렸다고 합니다. 이로 인해 시중은행 금리가 20% 가까이 올라가는 등 사람들은 고금리에 시달리기도 했다는데요, 볼커의 후임으로 임명된 '앨런 그린스펀'은 금리를 0.25%(퍼센트 포인트)씩 소폭 조정하는 이른바 ‘베이비스텝‘을 취해 볼커와는 사뭇 다른 금리 정책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준 (leesj@ytn.co.kr)<br />YTN 이수연 (leesy77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72307433358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