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금 상승 탓 물가 상승? "문제는 기대인플레이션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물가상승률이 6%대로 치솟자 노동계의 임금 인상 요구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물가 자극을 우려하며 임금 인상 자제를 언급했죠.<br /><br />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같은 문제인데 한국은행의 분석 결과를 이재동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일부 IT 기업과 대기업에 과도한 임금 인상 자제를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 "과도한 임금인상은 고물가 상황을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더욱 확대시키고…"<br /><br />물가와 임금이 서로 자극하는 악순환을 우려한 건데, 노동계는 고물가가 임금 상승 탓이냐며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 "임금인상이 물가인상을 더 추동할 것처럼 그렇게 몰아가는 것은 문제다라고 생각을 하고요."<br /><br />임금이 오르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다는 건 경제학의 통설입니다.<br /><br />그러면 국내에서의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일까.<br /><br />한국은행이 최근 20년간 자료를 분석해보니,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%포인트 올라가면 임금상승률은 1년 뒤부터 최대 0.4%포인트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 임금상승률이 1%포인트 높아지면 인건비 비중이 큰 개인 서비스물가 상승률이 4∼6분기 뒤 0.2%포인트 높아졌는데, 전체 물가를 자극하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물가가 빠르게 올랐던 1990년대로 분석 기간을 더 넓혀보니, 임금 상승의 물가 자극 효과는 뚜렷했습니다.<br /><br />향후 물가 상승 예상, 기대인플레이션이 커지면 물가와 임금의 상호작용으로 고물가가 고착화할 수 있다는 게 한은의 경고입니다.<br /><br />그 대책으로 한은은 임금상승 억제 대신,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 차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,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에 힘을 더하는 부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한국은행 #기준금리 #물가 #임금 #인플레이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