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대한 미술관으로?…논란의 중심, 청와대의 운명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한 주, 문화계가 시끄러웠습니다.<br /><br />국민 품으로 돌아온 청와대를 어떤 공간으로 만들지, 활용 방안을 두고 갈등이 일고 있는 건데요.<br /><br />담당 부처 사이 혼선까지 노출되며 논란은 커지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정다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문체부의 구상은 청와대를 복합 예술공간으로 만드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본관과 관저, 영빈관 등 주요 건물에 청와대가 소장한 미술품을 전시하는, 전시 위주의 공간입니다.<br /><br /> "격조 있는 문화예술 전시장으로 국민께 다가갑니다. 베르사유 궁전처럼 건축의 원형을 보존하면서 전시하는…"<br /><br />미술계와 일부 관광업계는 반색했지만, 정작 담당 부처 내부에서 우려가 쏟아졌습니다.<br /><br />문화재청의 정책 자문기구인 문화재위원회는 "역사성을 고려한 조사나 연구가 충분치 않다"며 우려를 표했고,<br /><br />문화재청 노조도 "거대한 궁전으로 되돌리는 퇴행"이라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문체부는 "정부 내 혼선은 없다"고 수습에 나섰지만, 말을 아끼던 문화재청장이 나서며 되레 논란을 키웠습니다.<br /><br />"부처간 논의와 준비가 부족했다"고 시인하며, 관리 책임을 벗어났으면 하는 속내까지 드러낸 겁니다.<br /><br /> "(관리) 맡은 쪽이 오히려 손해입니다. 힘들고 예산도 엄청나게 투입되고 솔직히 그 많은 인력과 여력을 다른 데 좀 투자했으면…"<br /><br />그간 문화재청은 역사공간으로서 '보존'에, 문체부는 시민이 즐길 수 있는 '활용'에 방점을 두며 각각의 청사진을 그려왔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서울시도 가세, 주변 지역과 연계한 "관광 클러스터" 구상을 내놓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고려시대부터 1천년간 이어진 최고권력의 공간, 청와대 앞에 놓인 과제는 보존과 활용의 균형점을 찾는 것.<br /><br />대통령실은 연말까지 청와대 관리 주체와 활용 방안을 확정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. (yeye@yna.co.kr)<br /><br />#청와대 #활용방안 #문체부 #문화재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