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럽 전역이 섭씨 40도가 넘는 찜통더위 속에 냉방 가전제품 사용이 크게 늘면서, 에너지 대란 우려도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독일 시민들은 이 와중에 겨울 추위까지 서둘러 대비해야 할 상황이어서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떤 사연인지, 김겨울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폭염에 휩싸인 유럽. <br /> <br />독일 역시 펄펄 끓는 기온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(7월) 20일, 독일 남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기온은 40.3도까지 오르면서 기상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고, 함부르크에서는 무더위로 인한 긴급구조 요청이 소방당국에 잇따라 들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[바흐만 피셔 / 독일 함부르크 : 브란덴부르크에 사는 남동생은 매우 심한 화상을 입었다고 합니다. 만약 날씨의 신이 있다면 최고 30도까지만 올라가게 해준다면 정말 행복할 것 같아요. 더 바라지도 않아요.] <br /> <br />그동안 독일에서 에어컨을 사용하는 가정은 전체 가구의 5%가 채 되지 않았지만, 이번 폭염으로 에어컨 사용량이 크게 늘면서, 에너지 비용도 급증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폭염만으로도 힘든 상황인데, 독일 국민 가운데 상당수는 벌써 때아닌 겨울 추위까지 서둘러 대비해야 하는 처지입니다. <br /> <br />건축 수리공인 악셀 슐터 씨, <br /> <br />다가올 겨울 걱정에 요즘 땔감을 비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난방이 제대로 작동되는지 난로에 불을 때며 점검하는 일도 잦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[악셀 슐터 / 건축 수리공 : 땔감이 더 저렴한 대안이기도 하지만, 정부의 방침으로 인해 가스 재고가 남지 않게 된다면 우린 얼어 죽을 거예요. 얼기 싫으니까 나무를 사서 겨울에 따듯하게 난방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독일은 겨울철엔 대부분 가정이 간단하면서 비교적 저렴한 가스 난방을 이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가 천연가스 공급을 막으면서, 에너지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위기감은 유럽 전역에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정이 이렇게 되자 나무와 석탄 등 다른 땔감은 수요가 늘면서 부르는 게 값이 됐는데, 그마저도 앞으론 쉽게 구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카이 모드호스트 / 목재 무역회사 회장 : 일반 땔감도 곧 크게 부족해질 것 같아요. 다른 나무 자재도 함께 가격이 상승하고 있고요. 당장 시장에서는 판매할 땔감이 너무 부족해서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. (가스의) 대안들도 가격이 상승하는 겁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겨울 (khj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73122303840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