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국제 원자재 수급난 진정 국면...반도체 리스크는 여전 / YTN

2022-08-21 1,023 Dailymotion

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발생했던 국제 원자재 수급난이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으로 반도체 수급 불안이 우려돼 정부는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치솟았던 에너지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차츰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석탄과 천연가스, 원유는 지난해보다 올랐지만, 밀과 옥수수의 가격 증가세는 더뎌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때 급등했던 철광석과 구리, 팜유, 알루미늄 가격은 이제 지난해보다도 내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 요인은 여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미·중 기술 패권 경쟁 심화와 러시아·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, 중국의 대만에 대한 수출입 금지 조치가 3대 불안 요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[장영진 /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: 대중·대일 공급망이 지금 우리가 잠재적인 위기가 있는 부분을 저희들도 계속 챙기고 있는데 업종 단체와 업계를 같이 모시고 점검하는 게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30여 개 핵심 품목의 수급 현황을 점검하고 비상시 대응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나라별로 보면 크립톤 등 반도체 희귀가스는 러시아 의존도가 높습니다. <br /> <br />이차전지 소재는 중국에, 반도체 부품과 소재, 장비는 타이완에 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또, 119개 산업 분야 핵심 품목에 대한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해 주요국의 특이 동향을 감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부는 소재, 부품, 장비 산업과 관련해 민간의 원자재 비축과 수입국 다변화를 지원하는 소부장 특별법 개정을 연내에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kim2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82207114214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