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일(24일)이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6개월이 됩니다. <br /> <br />전쟁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혼란을 겪던 세계 경제를 더욱 위기로 몰아넣었는데요. <br /> <br />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도 고물가와 고금리, 고환율의 복합위기에 시달리는 가운데 전쟁 이전의 경제로 돌아가긴 어려울 거란 전망까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권남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지난 2월 24일 YTN 뉴스 : 조금 전 들어온 속보부터 전해드리겠습니다.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작전을 선포했다고….] <br /> <br />7천여 킬로미터 밖 전쟁 소식은 참상을 전하는 텔레비전 화면과 함께 전방위 가격 상승으로 피부에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원유 수출에 제동이 걸리며 국내 주유소 기름값은 한때 리터당 2,100원을 넘겼고, <br /> <br />[유원식 / 서울 녹번동 (지난 3월) : 기름값 빼고 뭐 빼고 나면 남는 것도 없고….] <br /> <br />세계 식량 가격이 최고치를 경신하며 식용유부터 밀가루까지 30~50%대 급등이 예삿일이 됐습니다 <br /> <br />[신흥중 / 빵집 운영 (지난 5월) : 거의 동시다발, 그냥 모든 재료가 한꺼번에 인상이 되는 그런 적은 없었어요.] <br /> <br />정부는 최대한도의 유류세 인하로 맞섰지만, 물가 상승 물결은 일상에서 먹고 쓰고 입는 품목 대부분으로 번졌습니다. <br /> <br />23년 만의 고물가에 금리는 계속 오르고, 코스피를 비롯한 자산시장은 흔들리며 환율은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달립니다. <br /> <br />곧 경기침체까지 닥쳐올 거란 경고 속에 전쟁이 끝나도 이전 같은 경제로 돌아가긴 어렵단 전망이 계속됩니다. <br /> <br />[김학균 /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(유튜브 '경다방') : 지금은 중앙은행이 통제하기 힘든 물가 상승 압력이 존재한다고 봅니다. 정치적인 갈등은, 세계화의 후퇴는 뭔가 비싸게 만들어지고 소비자들이 비싸게 소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….] <br /> <br />고정비 부담이 크고 대출이 많은 서민층을 중심으로 생활이 더 팍팍해진 가운데 경기침체부터 지정학적 갈등까지 각종 위기를 헤쳐가야 할 과제가 윤석열 정부에게 남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남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82316444929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