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기대 인플레' 꺾였지만...고환율 덮쳐 금리 인상 불가피 / YTN

2022-08-23 114 Dailymotion

기대인플레이션율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 전환 <br />원-달러 환율 고공행진에 국내 물가 자극 우려 <br />이번 주 한은 기준금리 결정…"0.25%p 인상 유력"<br /><br /> <br />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8개월 만에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환율 급등이 고물가를 더 자극할 우려가 커지면서 이번 달에도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소비자들이 예상하는 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4.3%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긴 하지만, 물가 상승이 정점에 다다랐다는 기대 심리가 반영되면서 전달보다 낮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원-달러 환율입니다. <br /> <br />주요국 긴축과 경기 침체 우려 속 1,400원을 돌파할 거란 관측마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: 미국 금리가 우리나라 금리뿐 아니라 전 세계 각국 금리에 비해 굉장히 빠르게 올라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환율이 상승할 압력이 상당히 있을 것이다….] <br /> <br />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올라가고 소비자물가를 자극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미 지난달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7.9%나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지표는 이번 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물가 상황을 고려할 때 최소 0.25%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도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한국은 2.25%, 미국은 2.5%입니다. <br /> <br />[황세운 /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국내 경제 여건과 가계 부채가 상당히 어려운 국면에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큰 충격을 주진 않아야 한다는 우려로 0.25%p (인상) 선택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죠.] <br /> <br />물가를 잡는 게 우선이긴 하지만, 잇단 금리 인상으로 투자와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은 우려되는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또 금리 인상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만큼 고환율에서 고물가, 고금리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시급히 끊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82322180194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