칩4 논란 속 수교 30년…"민간교류로 풀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중 양국이 수교 30주년을 맞았죠. 하지만 안보 문제 만큼이나 경제문제도 논란이 많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동맹 칩4가 대표적인데요.<br /><br />삼성전자 서초사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는 3나노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며 초격차 기술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한편으론 미국이 추진하는 반도체 동맹 칩4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어 고심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칩4는 미국 주도로 한국과 대만, 그리고 일본을 묶는 반도체 동맹으로,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 주도로 재편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굴기를 선언한 중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하겠다는 거라, 우리 정부와 반도체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가 일단 칩4 예비회의 참석 의사를 미국에 전하면서 중국과의 갈등 국면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국면인데요.<br /><br />오늘로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았지만 완전한 축제 분위기라고 할 수만은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칩4 동맹에 본격 참여하는지 여부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 반도체 수출 물량의 60%가 홍콩을 포함한 중국으로 가고 있기에 중국의 분위기를 살펴야 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또 한중 교역구조가 더이상 상호보완 관계가 아니라 반도체와 배터리 등 핵심 신산업에서 경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도 우리 정부와 기업들에겐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중 양국의 민간 경제교류 강화가 국제정세에서 비롯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중국은 우리에게 여전히 가장 큰 시장입니다.<br /><br />1992년 수교 당시 64억 달러였던 한중 교역은 지난해 3,015억 달러로 무려 47배나 성장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한국의 1위 교역국이 됐고, 올해는 한국도 중국의 2위 교역국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양국의 경제인들은 급격한 국제 정세 변화가 오히려 양국이 경쟁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초일류 제품은 원자재부터 최종 완성 단계까지 각국의 모든 강점이 한곳에 결집되어야 만들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한 건데요.<br /><br />특히, 반도체, 전기차, 배터리,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대부분은 양국 간 공급망이 구축됐거나 협력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양국 경제인은 이를 위해 민간 인적 교류를 강화해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는데요.<br /><br />그동안 민간 기업인들이 한중 관계의 얽힌 실타래를 푸는 열쇠가 된 만큼, 이번에도 해법엔 차이가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오히려 달라진 모습의 양국 관계를 인정하고 호혜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다가올 30년을 대비하는 지혜가 될 수 있다는 얘깁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한중수교_30주년 #반도체동맹_칩4 #한중교역 #민간인적교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