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육원 출신 10대 잇단 비극…"자립 교육·멘토링 강화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광주에서 보육원 출신 10대들이 엿새 간격을 두고 잇따라 극단적 선택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보육원을 나와 자립을 하거나 준비 중하던 중 심리적 어려움 등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한덕수 국무총리도 대책 마련을 주문했습니다.<br /><br />김경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광주의 한 아파트에서 19살 A양이 숨진 채 발견된 건 지난 24일 오전입니다.<br /><br />경찰은 A양이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계성 지적장애가 있는 A양이 남긴 12장 분량의 유서에는 "삶이 고달프다" 등의 신변을 비관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10살 무렵부터 보육원을 옮겨 다니며 자란 A양은 만 18살이 된 지난해 2월 자립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들어 우울증이 악화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지난 21일 광주의 한 대학교에서도 18살 B군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보육원에서 자란 B군은 올해 대학에 입학한 뒤 자립을 준비하면서 학교 기숙사와 보육원을 오갔습니다.<br /><br />B군은 평소 외로움과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보육원을 나와 홀로서기를 하는 청년은 매년 2,400여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상당수는 홀로서기 과정에서 심리적,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본인들은 얼마나 막막하겠습니까. 불안감들, 위기감들. 이런 위기감을 극복하고 사회에서 적응하고 나갈 수 있는…"<br /><br />사회에 나갈 준비를 하는 아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사회 적응 훈련을 강화하고, 기댈 곳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.<br /><br /> "개별화된 교육 그리고 어떤 집체(교육), 다 모여서 일방적인 전달식이 아니라 생활에서 배우고 길러지고 형성되고 이런 쪽으로 조금 교육도 바뀌어야 할 것 같아요."<br /><br />한덕수 국무총리는 보육원에서 자란 뒤 사회로 나온 청년들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층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해 달라고 보건복지부에 주문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. (kikim@yna.co.kr)<br /><br />#보육원 #자립준비청년 #보호종료아동 #사회적응훈련<br /><br />※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때 자살 예방 상담 전화 ☎1393, 정신건강 상담 전화 ☎1577-0199, 희망의 전화 ☎129, 생명의 전화 ☎1588-9191, 청소년 전화 ☎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