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지난 5일 오후 10시쯤 전남 신안군 가거도. 주민들이 방파제가 있는 바다 쪽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. 태풍 ‘힌남노’의 초속 32m가 넘는 강풍 속에 파도가 금방이라도 방파제를 쓸어갈 것 같았다. 방파제는 2011년 태풍 ‘무이파’와 2012년 ‘볼라벤’ 때 번번이 유실됐다. <br /> <br /> 주민들은 6일 오전 태풍이 한반도를 빠져나갔다는 말에 가슴을 쓸어내렸다. 박재원(58) 가거도 2구마을 이장은 “역대급 태풍이라는 말에 방파제가 또 날아갈까 봐 가슴을 졸였다”고 말했다. 전남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145㎞ 떨어진 한반도 서남단 가거도는 태풍 때마다 진로 한복판에 놓여 대한민국 핫코너(Hot Corner)로도 불린다. <br /> <br /> 관련기사 포항 수몰 지하주차장서 ‘기적의 생환’ “지하주차장 잠기는데 10분, 119 신고할 경황도 없었다” “우리도 관리사무소 방송 들었지만 창밖 보니 하천 범람, 겁나 차 포기” 힌남노 위력, 중심기압으로는 사라·매미 이어 역대 3위 물바다 포항에 뜬 해병대 장갑차…침수지역 수색, 주민들 구조작업 제주 1만7000가구 정전…언양에선 20대 하천서 실종 <br /> 가거도 방파제는 1978년 착공해 2008년 5월 완공됐다. 착공 후 30년간 ‘셀마’(1987년), ‘프라피룬’(2000년), ‘라마순’(2002년) 등 태풍에 공사현장은 쑥대밭이 됐다. 1325억원이 투입된 방파제가 완공되자 주민들은 “이제야 태풍의 공포에서 벗어나게 됐다”고 좋아했다. 하지만 방파제는 태풍 ‘무이파’와 ‘볼라벤’에 버티지 못했고, 413명의 주민은 또다시 고립됐다. <br /> <br /> 볼라벤 직후 ‘100년 빈도’ 태풍에도 견딜 수 있게 사업비 2335억원을 추가 투입해 보강공사를 했다. 길이 480m의 이른바 ‘수퍼 방파제’가 오는 12월 완공된다. <br /> <br /> 주민들은 기존 방파제에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보완한 ‘수퍼 방파제’가 태풍을 막는 데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00112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