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프리카 유일 왕정의 최대 전통축제…갈대댄스 축제 열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 유일의 절대 왕정국가인 에스와티니라는 나라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소 생소하실텐데요.<br /><br />이 나라의 최대 전통 축제인 갈대 댄스 축제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열리지 못했다가 3년 만에 재개됐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젊은 여성의 자부심이 한껏 드러나는 축제 현장을 요하네스버그 김성진 특파원이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아프리카 최남단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접한 인구 118만명의 작은 나라 에스와티니.<br /><br />지난 2018년 스와질란드에서 이름을 바꾼 에스와티니는 아프리카 유일의 절대 왕정국가로 국왕이 전권을 행사합니다.<br /><br />최근 에스와티니의 최대 전통 축제인 '갈대 댄스 축제'가 루지지니 왕궁에서 일주일간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팬데믹에 3년만에 열린 겁니다.<br /><br />과거엔 축제 참가자와 관광객 등 수만명이 참여할 정도로 큰 축제였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엔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해 보츠와나, 레소토 등에서 2천여명 넘게 모였습니다.<br /><br />참가자들 중엔 여경과 여군도 있습니다<br /><br />축제는 수 세기 전 젊은 처자들이 왕의 어머니인 모후에게 바람막이 담장을 수리하는 데 쓰라고, 인근 갈대밭에 가서 갈대를 베어다 갖다준 데서 유래했습니다.<br /><br />여성들은 갈대를 벤 칼을 들고 수십명에서 수백명씩 차례로 서서히 행진하며 역동적인 춤을 춥니다.<br /><br />화려한 색상의 천으로 상체를 꾸민 채 발목에는 소리 나는 나무 열매를 달아 리듬감 있게 발을 구르며 지나갑니다.<br /><br />축제는 양성평등을 강조하는 현대 사회에서 다소 거리감이 있는 혼전 순결을 여전히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로 집안에 있다가 함께 모여 행복합니다. 처녀로서 우리 자신에 대해 자부심을 가집니다"<br /><br />과거에는 축제 기간 국왕이 왕비를 간택하기도 했으나 수년 전부터는 젊은 여성들의 연대와 자부심을 드러내는 장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여성들의 댄스 솜씨와 아프리카 특유의 리듬감에 관람객들도 환호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민주화 시위로 위축됐던 국왕 음스와티 3세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며 외교사절단을 맞아 눈길을 끌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에스와티니 갈대 축제 현장에서 연합뉴스 김성진입니다.<br /><br />#에스와티니 #갈대댄스 축제 #여성_국왕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