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6차 유행이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실내 마스크와 확진자 격리 같은 방역 조치가 언제 완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소규모 유행은 언제든 나타날 수 있다며 실내 마스크 착용 등 의무를 해제하는 덴 신중히 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지금 실내 마스크 착용과 확진자 격리 의무는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최소한의 방역 조치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재유행이 사실상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자 이런 방역 조치 해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감소세는 맞지만, 소규모 유행은 언제든 다시 나타날 수 있다며 당장 해제는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 : 재유행이 안정기에 접어들기 전에는 이러한 조치들을 완화하는 데 있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검토하는 과정에는 국내 유행 상황은 물론 해외의 정책 동향과 전문가 의견을 종합적으로 참고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방역조치 추가 완화를 검토하기 시작할 시점이란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의 정기석 위원장은 <br /> <br />라디오 인터뷰에서 유럽에 가보니 호흡기내과 의사들도 실내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면서 한국도 마스크를 벗어야 하고 그 시기는 내년 봄이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치명률과 위중증 추이 등을 토대로 검토한 뒤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를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일괄적 해제보다는 효과가 떨어지는 영역부터 단계적으로 해제하는 접근법을 제안하는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: 고위험 시설에서 유지를 하고 그리고 나머지 시설에서는 해제하는 방식으로의 점진적인 접근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어서요. 저는 특정 시기를 못 박는다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고 접근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최근 주간 독감 의심환자가 외래환자 천 명당 4.7명으로 유행 기준인 4.9명에 근접해 독감 등 다른 감염병이 코로나와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응할 의료체계가 이번 겨울에 충분히 검증돼야 내년 봄에 실내에서 마스크를 벗을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평정 (py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91321185682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