막판까지 일정이 잡히지 않았던 한미정상도 뉴욕에서 다시 마주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회담 형식이 아니라 바이든 미 대통령이 주최한 회의에서 48초 동안 짧은 환담을 나눈 형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뉴욕에서 박소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이든 미 대통령 주최로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 펀드 재정공약 회의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짧은 연설을 하며 국제 협력과 재정 공여를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 : 글로벌 보건 시스템 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더욱 힘을 보태고자 합니다. 대한민국은 총 1억 불을 앞으로 3년 동안 기여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애초 계획된 자리가 아니었는데 한미정상회담 일정을 막판까지 조율하던 중 바이든 대통령 초대로 급히 참석하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행사를 마친 윤 대통령은 박진 외교장관 안내로 바이든 대통령에게 다가가 반갑게 인사하며 대화를 나눴습니다. <br /> <br />48초 동안의 짧은 환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 어깨를 잡거나 엄지 척을 하며 친근감도 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화에 앞서서는 누군가와 사진을 찍고 서명하는 바이든 대통령 주변에서 기다리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환담에서 미국산 전기차에만 세제 혜택을 주는 IRA,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한 우려를 전했고, 이에 바이든 대통령이 잘 알고 있다면서 진지한 협의를 이어가자고 언급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양국이 금융안정을 위한 유동성 공급장치 실행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으며, <br /> <br />확장억제 관련 협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대북 공조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은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국왕 주최 리셉션, 재정공약 회의, 바이든 부부 리셉션까지 세 차례 만났다고 의미를 부여했지만, 애초 기대했던 한미회담은 사실상 불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의 여왕 국장 참석으로 인한 피로와 미국 내 정치 일정 등으로 뉴욕 일정을 축소한 것의 여파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윤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 일정이 지연되면서 잡혀있던 경제 관련 행사 2개를 잇따라 취소했는데, 지나치게 한미의 만남에만 집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뉴욕에서 YTN 박소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소정 (soj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92216030633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