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공정·자율' 노동시장 개혁…MZ세대 생각 들어보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임금체계 개편과 노동시간 유연화에 초점을 맞춘 노동시장 개혁을 추진 중인 정부가 최근 MZ세대 노조를 직접 만났습니다.<br /><br />공정, 자율을 선호하는 MZ세대의 의견을 직접 듣고 정책에도 반영하겠다는 의돈데, 예상과는 사뭇 다른 반응들이 적지 않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추진 중인 노동 개혁의 핵심축은 '주52시간제' 경직성 해소와 직무·성과에 따른 임금체계로 개편입니다.<br /><br />최근 고용노동부는 임금 결정 기준이 공정하지 않다는 직장인이 85%가 넘고, 10명 중 7명은 자기 계발이나 육아를 위한 근로시간 조정이 불가능하단 설문 결과를 제시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이 같은 노동 개혁에 기존 생산직 중심 강성 노조는 반발해도 공정과 자율을 중시하는 MZ세대는 적극 공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의 생각을 들어보기 위해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직접 나섰습니다.<br /><br />MZ세대가 주축이 된 사무직 노동조합을 만난 건데, 의외로 참가자들은 취지엔 공감하면서도 개혁 방향에 대해선 의구심을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임금과 근로시간 문제를 묻는 이 장관 질문에 '주52시간제'를 풀어주기 보단 해묵은 과제 해결이 먼저라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.<br /><br /> "포괄임금 계약이 가장 큰 문제에요. 포괄임금 계약을 통해서 수당 지급을 안 해도 되다 보니까 사용자들이 노동시간을 기록하지 않습니다. 장시간 노동이 계속 지속되는 거죠."<br /><br />직무·성과에 따른 보상을 받으려면 MZ세대가 새로운 대화 창구로 만든 노조부터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 "소수 노조는 현재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 내에서 노조로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. 교섭권을 박탈당한 노조는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…"<br /><br />경직된 회사의 태도가 바뀌지 않으면 공정한 보상, 자율적인 직장 문화는 결국 어렵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노동조합은 변했다고 생각합니다. 회사 이익에 반하는 존재, 조합원들 이익만 대변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는 게 안타깝습니다."<br /><br />정부가 다음 달까지 마련하겠다는 노동 개혁 정책이 노동시간은 연장하고, 임금은 제대로 보상하지 않는 방향이란 의구심을 벗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 (goodman@yna.co.kr)<br /><br />#2040 #임금체계개편 #노동시간 #노동시장 #MZ세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