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년 9개월 만의 한일 약식회담, 관계 개선 첫걸음 <br />한일 정상,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의견 교환 <br />일본 측 사과 문제 놓고 한일 ’평행선’ <br />"日 성의 있는 호응 촉구"…"한국 책임있게 해야" <br />기시다 정치적 입지, 징용 논의에 영향 줄 수도<br /><br /> <br />지난 21일 열린 한일 정상의 약식회담에서 양측은 최대 쟁점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결의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본 측 사과 등에 대한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어 해법 도출까지 상당한 난관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년 9개월 만에 성사된 한일 정상의 약식회담은 관계 개선의 첫걸음을 뗐다는 데 의미를 둘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별한 시한을 두지 않고 해법 마련을 위해 양국 외교당국 간 협의를 가속화해 나가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관계 개선의 핵심 가운데 하나인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임수석 / 외교부 대변인 (지난 22일) : 일본 측도 강제징용이 주요 현안이라는 같은 인식하에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양측이 계속 노력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외교부가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고 밝혔듯이 의견 접근이 이뤄진 것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나 징용 가해 기업의 사과 문제를 놓고 한일 양측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4차례 민관협의회 내용 등의 노력을 설명하며 일본 측의 성의 있는 호응을 촉구했지만, 일본은 한국의 책임 있는 자세를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진구 /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: 해법 마련을 우리 정부가 해야 하는 거고 기본적으로 일본 측이 참가하는 것을 전제로 한 해법 마련이라는 것을 일본이 받아들일 수 없다는 거예요.] <br /> <br />따라서 대법원의 일본 기업 배상 판결을 이행하기 위한 재원 조성에 일본 기업이 참여하는 방안도 현실성은 낮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, 일본 기시다 총리의 국내 정치적 입지도 향후 한일 간 강제징용 해법 논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회담 조율 과정에서 막판까지 신경전이 고조되면서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92422323925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